오늘은 스타링크 관련주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페이스X는 2023년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으며, 당초 2023년 1분기로 진출 시기를 특정했지만, 올 초 진출 시기를 2분기로 수정했다고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미국 스페이스X의 한국 자회사 스타링크 코리아의 기간통신사업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혀 스페이스X의 위성 통신 서비스 스타링크의 한국 시장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오늘은 스타링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볼 예정인데요. 해당 관련주의 기업내용, 기업실적, 매출액,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주식차트의 모습까지 확인하셔서 성공투자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쎄트렉아이
- 동사는 위성시스템 개발 및 관련 서비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12월 29일 설립되었으며, 2008년 6월 13일에 코스닥시장 상장을 승인받아 회사의 주식 이 2008년 6월 13일자로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되었음.
- 지상체 분야에서는 소형/중형/대형위성의 관제 또는 위성으로부터 취득된 정보를수신/처리하기 위한 지상국 장비와 S/W 공급을 핵심사업으로 영위.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4%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80.3% 감소하였으며, 위성에 대한 영상판매권 추가 확보와 직접 위성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새로운 사업모델 추진을 통해 중장기적 성장 모멘텀을 갖출 계획임.
- 국내외의 군, 정부기관 또는 위성을 소유 및 운영하는 기업 등을 대상으로 위성영상 기반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석 플랫폼을 제공하면서 성장 모멘텀을 확대하고 있음.
2. 한화시스템
- 동사는 군사장비의 제조 및 판매하는 방산부문과 IT 아웃소싱 등 서비스 판매하는 ICT부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핵심사업인 군위성통신체계-Ⅱ 및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대대급전투지휘체계(B2CS), 개인전투체계, 한국형전투기(KF-X) 사업에 참여.
- 대내외 기업 고객에게 24시간, 365일 무중단 IT운영을 지원하며, 서버 자원 사이징에서부터 H/W 및 S/W 설치, 유지보수, 업그레이드, 패치, 백업, 복구를 지원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7% 증가, 영업이익은 78.6%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하였으며, 동사는 선제적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UAM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한국공항공사(KAC)와 2020년 7월 3일 MOU를 체결하였음.
- 방산 부문의 양산사업과 ICT 부문의 단기 프로젝트로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ICT 부문의 선투입 및 인력 증가 와 신사업 부문의 연결 손실로 인해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함.
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동사 및 종속회사는 고도의 정밀기계분야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항공엔진, 방산, 시큐리티(CCTV), IT서비스, 항공우주 사업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성.
- 가스터빈엔진 및 엔진부품 등을 생산하는 항공엔진사업은 상당 수준의 투자가 필요함은 물론 핵심기술의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으로 장기간의 개발기간과 투자를 필요로 하며, 매출은 2022년 기준 방산사업 50%, 항공엔진 19%, 시큐리티(CCTV) 14%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증가, 영업이익은 36.1% 증가, 당기순이익은 20.5% 감소하였으며, 동사 매출은 K-9 자주포 등의 방산사업 매출 증가와 CCTV 등의 민수사업 매출 증가로 전년 대비 9982억원이 증가.
- 한화파워시스템(8월 매각완료)과 한화정밀기계(11월 매각)의 손익을 중단사업손익에 반영하였고, 2023년에는 실물 크기(Full-scale) 무인 시제기를 제작하여 초도 비행시험을 추진할 예정.
4. 한양이엔지
-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Fab 설비에 필수적인 초고순도(UHP) 특수설비 및 기타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진공설비사업 전문화 및 환경사업 강화를 목적으로 하이벡 주식회사를 당사 지분 100%로 설립.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가 9개로 증가.
- 산업플랜트(일반산업, 가스산업), 환경 및 그린에너지, 우주항공 관련 특수설비 분야에서도 고유의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SK하이닉스임.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5% 증가, 영업이익은 36.6% 증가, 당기순이익은 52.2% 증가하였으며, 매출 증가를 통해 비교적 안정적인 영업이익률을 달성하며 당기순이익 52%하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음.
- 원재료 가격 변동부분은 신규 수주 또는 계약 변경 시 내역에 반영하며,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담은 영향을 많이 받는 타산업군에 비해 적다고 볼 수 있음.
5. 인텔리안테크
- 동사는 위성통신 안테나 및 솔루션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법인을 통해 600여 고객사에 납품, 전체 매출 95%가 해외수출이며, 해상, 육상용위성 데이터통신(VSAT, FBB), 위성방송통신(TVRO), 지상용(Gateway)안테나 등 제품 생산.
- 최근 OneWeb, Amazon등 글로벌 IT대기업을 주축으로 저궤도(LEO)위성통신망활용 서비스시작, OneWeb에 지상용 저궤도 위성안테나 개발 및 공급.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5% 증가, 영업이익은 588%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매년 수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영업이익 증가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또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른 각종 비용 부담은 늘었음에도 매출 증가 폭이 더 커 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증가함.
6. 한양디지텍
- 2004년 4월 한양이엔지의 메모리모듈 제조부문을 전략적 집중과 역량 강화를 위해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인적분할과 동시에 코스닥시장 직상장함.
- PC와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모듈 제조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며, SSD, 인터넷 관련기기, VoIP 장비, 바이오 진단기기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메모리모듈로 PC용 노트북, 서버에 사용되며, 2019년 베트남에 서버용 메모리모듈, PC용 메모리모듈 양산 체계를 구축함.
- PC 및 통신장비의 기억장치 등에 사용되는 메모리모듈의 생산기전 이전 이후 생산 안정화와 판매량 증가로 2022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59.8% 증가함.
- 베트남으로 이전한 생산기지의 안정화에 따른 초기비용 감소로 원가율이 개선됨에 따라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늘어났으며, IP통신 부문은 통신 및 CATV 사업자들의 가정용 인터넷 서비스 개시 및 보급확대로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어 제품공급 확대가 예상됨.
7. AP위성
- 동사의 위성통신 단말기의 수요처는 대부분 해외시장이며, 인공위성 및 위성 부분품의 수요처는 국내 대기업과 정부 연구기관이며, 원재료의 대부분을 다년간 거래한 매입처를 통해 매입하고 있어 매입가격이 안정화되어 있음.
- 주요 고객은 두바이 소재의 이동위성통신사업자 THURAYA Telecommunication으로 2대의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해 유럽, 아프리카, 중동, 호주 및 아시아 전역의 이동위성통신서비스를 제공함.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3.3% 증가, 영업이익은 433.7% 증가, 당기순이익은 190.8%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 증가와 함께 이자 수익 등의 발생 영향으로 당기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큰 폭 증가함.
-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다소 증가했으며 매출증가에 따른 매출원가와 판관비 및 인건비 부담은 가중됐지만 매출 증가 폭이 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함.
8. 제노코
- 동사는 위성통신부품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군 전술정보통신체계(TICN)사업의 핵심부품인 비접촉식광전케이블을 주력으로 제조함.
- 국가우주개발사업에 참여하여 X-Band Transmitter (주파수 X대역(8.025~8.4GHz) 송신기) 등의 위성탑재체분야 국산화에 성공하였으며, 위성운용국, 소형무장헬기(LAH)사업 및 대한민국 차세대 전투기(KF-X)사업 등의 항공전자장비를 중점으로 제조ㆍ공급.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1% 증가, 영업이익은 26.5% 감소, 당기순이익은 53.5% 감소하였으며, AIRBUS와의 프로젝트를 통해 전자기파(EMP)에 대한 방호기술을 인정을 받았으며, 국내시장의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 위성탑재체 핵심 기술을 대한민국의 독자기술로 확보하는 X-Band Transmitter 우주핵심기술 개발사업을 시작으로 차세대 중형위성에 이르기까지 위성의 핵심기술을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