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스마트팩토리 관련주 8종목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 팩토리는 설계, 개발, 제조, 품질, 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생산과정에 정보통신기술를 적용한 지능형 생산공장이라고 합니다.
최근 기업들은 무선통신기술을 통한 실시간 제어로 공장의 제조 및 물류 효율을 높이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경쟁력 확보를 가진 스마트팩토리에 투자를 한다고 하는데요.
스마트팩토리는 인력 비용이 절감되며, 자동화 생산을 통해 대량 생산 문제 해결 및 개인 맞춤형 생산도 가능해진다고 하는데 아래 포스팅에서 그 관련주 8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에스피시스템스
- 동사는 1988년에 설립되어 로봇자동화 제조 시스템 구축, 일반 산업기계의 제조, 판매 및 부속기기 제조, 판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갠트리로봇을 포함한 로봇자동화시스템의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 디스플레이, 공작기계 산업 분야 등 다양한 산업의 제조현장에서 제품 또는 소재의 자동 이송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폭 넓게 사용되는 자동화시스템을 주축으로 하는 산업자동화 시스템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중.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하였으며, 스마트 팩토리의 공급 확대와 정부지원 강화는 향후 자동화 시스템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동사는 ICT, ERP, PLM, MES 등 선진화된 솔루션을 도입하여 당사의 로봇과 다양한 형태로 융합되어 고객에 제공 될 수 있도록 선도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음.
2. 티라유텍
- 동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SCM, MES 및 설비 자동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으며, 매출 구성은 IT서비스 및 SW 약 80.19%, 상품 약 19.49%, 기타 0.31% 로 이루어짐.
- 동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 디스플레이, LG화학, 한화큐셀, 현대모비스, 한화테크윈 등 다양한 산업군의 국내 대기업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감소, 영업손실은 45.9% 감소, 당기순손실은 48.4% 감소하였으며, 세계적으로 2차전지 투자가 늘어나면서 동사의 2차전지 스마트 공장에서 실적 개선이 기대됨.
- 2022년 1월 신설법인 ‘티라로보틱스’를 출범하고 자율주행 협업 로봇 제품인 ‘로보엘’을 출시하는 등 관련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있음.
3. 바이옵트로
- 동사는 2000년 7월 6일 설립되어 2021년 11월 18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PCB 사업부는 현재 기기에 전원 공급과 기구 구동을 지원하여 전자제품에 두루 활용되고 있음.
- Vision 및 계측기술을 활용한 반도체 substrate 검사장비 및 AI기반 Robot system 제조와, 공장자동화(FA)장비에 대한 Total Solution 제공을 주된 영업 목적으로 하고 있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1% 감소, 영업이익은 89.8% 감소, 당기순이익은 244.4% 증가하였으며, PCB 사업부문은 장기적으로는 자동차 전장용 및 IT 시장의 성장과 스마트폰의 상향 평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임.
- 국내 유일의 BBT 장비 전문생산 업체로서 FC-BGA BBT장비를 개발 중이며, 2022년 하반기 신규 장비 출시가 기대됨.
4. 에스엠코어
- 동사는 1972년 신흥 우드워크로 설립된 이후, 끊임없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사업 영역에서 물류 자동화 산업을 이끌어오고 있음.
- 설계부터 제작, 설치, 운영까지 턴키방식으로 제공하는 Total Solution과 함께 최적화된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를 보장하며, 동사는 인도, 중국, 북미 등 전세계에 성공적인 납품실적을 보유하고 있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6%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하였으며, 자동화 설비 내수 시장 수주증가 효과 등으로 매출 증가.
- 원가율 개선에 판관비와 인건비 절감 노력에 힘입어 영업이익 크게 개선하며 흑자전환 성공하였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도장 자동화 라인을 보유하고 있어 정형화된 공정과 축적된 기술력으로 차별화된 품질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5. 아진엑스텍
- 1997년 아진전자산업으로 설립, 2001년 아진엑스텍으로 상호를 변경함하였으며, 2013년 7월 코넥스 시장에 상장했으며, 2014년 7월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함.
-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모션제어 모듈, 모션제어 시스템, 로봇제어기 제품을 자체 기술로 개발, 제조하는 범용 모션제어 부품 전문 기업이며, 반도체 장비 및 스마트폰 장비와 같은 제조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제어기 국산화 전문기업, 제조용 로봇 제어기 전문기업임.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3% 감소, 영업이익은 74% 감소, 당기순이익은 61.6% 감소하였으며, 2022년 하반기부터 반도체 장비산업 등 전방산업 전반의 실적이 악화되어 매출액을 포함한 경영성과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음.
- 영업이익 감소 영향에 따라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줄었으며, 향후 2차전지, OLED, PCB 등 신사업 진출로 활로를 모색한다는 계획임.
6. 삼익THK
- 동사는 수공용 줄을 생산, 판매할 목적으로 1965년 설립되었으며, 이후 기타 기계 및 장비제품의 제조 및 판매 업종을 추가하였으며, 주력품목인 LM시스템의 각종 적용 기술을 별도 기술지원홈페이지를 통하여 자료를 구축 및 고객 지원을 하고 있음.
- 산업설비자동화, 반도체 제조장비 및 시험장비 등에 필수요소 부품인 LM시스템과 LM가이드, 볼스크류, 서브모터, 감속기 등을 조합한 메카트로시스템 사업을 영위함.
- 2022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9.2% 증가, 영업이익은 206억원으로 39.3% 증가, 당기순이익은 40.9% 증가하였으며, 메카트로시스템 등 자동화기기와 부품 수출이 호조를 보였고 산업용 기계장비 매출이 내수시장에서 크게 오르며 전체 외형 성장을 견인함.
- 동사의 LM시스템은 기계의 고정도화, 조립용이성, 에너지절감, 간편한 유지보수 등으로 높은 수준의 경제성과 기술 향상성을 갖춤. 국내산업 자동화 및 산업고도화에 공헌.
7. 유일로보틱스
- 동사는 2011년 설립되어 산업용 로봇 및 플라스틱 사출 형성에 적용되는 사출 주변기기(스마트기기)의 제조와 판매 및 오토피딩시스템과 냉각시스템 등을 통한 자동화 시스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직교(취출)로봇, 다관절로봇, 협동로봇과 같은 산업로봇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으며, 사출 자동화시스템 및 산업용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최근에는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 중에 있음.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9%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하였으며, 적자 전환의 주요 항목으로는 환율 및 물류비 등의 증가에 따른 원자재 비중 53%, 경상연구비 및 인건비 증가 31%, 상각비 등 기타 비용 증가 16%로 나타남.
- 로봇 중심의 자동화 시스템을 중심으로 전방산업 즉, 전기차 및 2차 전지로 확대되는 자동차 산업 및 고급화 되는 가전 산업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예정임.
8. 트윔
- 동사는 AI 딥러닝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공정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자동차, 식음료 및 바이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사의 공정 자동화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제공함.
- 자체 개발한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AI 딥러닝 검사 소프트웨어 “MOAI”를 개발하고 , 이를 탑재한 AI 검사기(T-MEGA), Rule 기반 비전검사시스템 등을 제공함.
- 2022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하였으며, 전방산업의 투자 부진으로 인하여 매출이 감소하였으며, 대손충당금 및 재고자산평가 충당금등의 1회성 비용인식으로 인하여 영업손실이 발생함.
- SNS 및 전시회 등을 통해 지속적인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고, 성공적인 레퍼런스를 경험한 기존 고객을 통해 고객 확장 전략을 실시중임.
지금까지 스마트팩토리 관련주 8종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