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통형 배터리 관련주에는 삼성SDI, 상신이디피, 케이엔에스, 동원시스템즈, LG에너지솔루션, 금양, 엘앤에프 케이엔에스 등이 있습니다.
삼성SDI가 원통형 46파이(지름 46㎜) 배터리를 내년 초 양산한다는 소식이 전해져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삼성SDI가 내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것은 46㎜ 지름에 4개 높이로 구성된 ‘46파이’ 원통형 배터리라고 합니다.
원통형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2170(지름 21㎜·높이 70㎜) 배터리보다 높은 에너지 밀도 등 장점을 갖추며 대표적인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고 하는데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삼성SDI
- 동사는 중ㆍ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함.
-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의 휴대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지에도 사용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1% 증가, 영업이익은 0.3% 증가, 당기순이익은 12%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유럽향 전기차에 들어갈 배터리를 공급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함.
- 에너지솔루션 부문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조 1,831억원(26%) 증가하였으며 대형전지는 국내 및 해외 국가들의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정책 영향으로 높은 성장이 지속됨.
2. 상신이디피 -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 동사는 2차전지부품 개발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설립되었으며, 2023년 2분기말 현재 2차전지생산/판매 단일 영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동사가 취급하는 제품은 휴대폰용 2차전지 부품인 CAN(원형), 자동차용 2차전지 부품인 CAN(중대형), 그 외 소형각형CAN, CID, TAB 및 단자류 등이 있으며, 주거래처인 삼성SDI에 대한 납품점유율이 타 경쟁사 대비 우월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4% 증가, 영업이익은 3.5% 감소, 당기순이익은 59.9% 증가하였으며, 리튬이온 2차전지는 중국, 인도 등 신흥 시장의 노트북PC, 휴대폰 수요의 견조한 성장세 등에 힘입어 지속적인 수요증가가 전망되고 있음.
- 삼성SDI에서 진행중인 PHEV/EV용 2차전지CAN의 개발업체로 선정되었으며, 중대형CAN용 2차전지 CAN 개발 완료하였으며 현재 양산 진행중임.
3. 동원시스템즈
- 동사는 종합패키징 및 첨단소재전문기업으로서 연포장재, 알루미늄박, 성형용기, 식품, 음료용 CAN, E.O.E, 페트병, 유리병, 이차전지 소재 등을 제조하여 판매.
- 포장재의 경우 품질경영시스템을 통해 축적된 KNOW-HOW을 바탕으로 북미, 남미, 유럽, 동남아시아 등 세계 전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이차전지 소재의 경우 이차전지 원형캔과 양극박 등을 중심으로 대량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국내 공급라인 구축에 박차를 가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1% 감소, 영업이익은 9.4% 감소, 당기순이익은 5.1% 감소하였으며, 연포장/PET/유리병, 제관(CAN), 알미늄, 수지, 인쇄 등 전체적인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함.
- 초고강도 양극박과 초박박 제품을 실현하여 양산 및 판매 중이며, 배터리 제조사의 배터리 성능 향상과 제조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기술을 제공하는 등 제품 경쟁력을 확보함.
4. LG에너지솔루션 -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 동사는 LG화학에서 분할되어 신설되었으며, EV, ESS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제품의 개발, 제조, 판매 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EV용 배터리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개발과 공급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Global 자동차 OEM 대부분을 고객으로 확보하였으며, 2023년 3분기 기준 세계시장에서 EV용 배터리 점유율 14.3%를 차지하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9% 증가, 영업이익은 43.2% 증가, 당기순이익은 148.9% 증가하였으며, 2023년 3분기 신·증설 투자 및 품질 강화 투자 등에 총 7.6조원을 사용하였음.
- CAPA는 41조원으로 수주량 소화를 위해 생산설비 투자를 집행해 나가고 있으며, 신규 전기차 수요 증가와 EV용 원통형 수요 확대 및 원가 상승분의 판가 인상 반영을 통해 매출 및 영업이익이 확대됨.
5. 금양
- 합성수지, 고무 등 고분자재료에 첨가되는 화공약품인 발포제 및 발포제 유관제품 제조업체로 1955년 설립되었으며, 발포제의 주요 수요처로는 자동차내장재, 상품포장재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산업 전반임.
- 가동률과 원재료 가격변동에 따라 수익성의 영향이 큰 산업으로 부가가치가 높지 않으며 물류비 부담이 큼. 수출비중이 80%를 상회하며,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국현지공장 생산 확대중.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하였으며, 지난해에 이어 내수 및 수출 동반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원가율 또한 증가한 영향으로 수익성 크게 하락하며 적자 전환된 모습.
- 자동차 내장재 및 친환경 발포제 개발과 추진중인 원통형 이차전지 사업과 수소연료전지 사업의 성공여부가 동사의 향후 성장 가능성의 척도가 될것으로 판단됨.
6. 엘앤에프 -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 동사는 2000년 설립돼 2003년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2차전지 양극활물질과 그에 관련된 소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 스마트기기, ESS 등을 만드는 데 쓰이며, 중국에 위치한 무석광미래신재료유한공사와 경북 김천에 위치한 제이에이치화학공업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대구 달서구와 경북 칠곡군 등에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고, 매출은 수출중심으로 구성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9% 증가, 영업이익은 72.7% 감소, 당기순이익은 60.3% 감소하였으며, 동사의 고객사들이 국내 EV/ESS 배터리 사업 모두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 뉴딜 수혜 확대 전망.
- 동사는 3Q23 실적 컨퍼런스를 통해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이 NCM523 양극재에 사용되는리튬가격의 예상치 못한 급락 때문이라고 밝힘.
7. 케이엔에스
- 동사는 2006년 4월 설립되어, 원통형 CID 장비 및 BMA 자동화 설비를 전문으로 제조하고 있으며, LGES, 삼성SDI 1차 벤더와 SK 온에 BMA 완제품을 납품하는 업체를 주요 고객처로 확보함.
- 그 외에 자동화 장비 설계 및 생산에 주력하는 동사 특성상 자동차부품(도어커넥터, 터미널압입기), 반도체 부품 진공포장기 등 다양한 자동화 장비 제품군을 납품하고 있음.
- 2023년 3분기(가결산) 기준 매출액 비율은 원통형 CID장비 67.76%, BMA 자동화설비는 20.98%, 반도체, 자동차부품장비 등이 8.96%이며, 2020년 7월 사업목적에 마스크 관련 사업을 추가하였으나, 기존 사업의 집중을 위해 마스크 관련 개발장비까지만 제작하고 사업을 중단함.
- 변화하는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베트남 자회사를 거점으로 글로벌 진출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확대할 계획임.
오늘 포스팅에서는 원통형 배터리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