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소재, 부품 관련주에는 레이크머티리얼즈, ISC, 케이씨텍, 티이엠씨, 메가터치, 마이크로컨텍솔, 엘티씨, 하나마이크론, 디엔에프. 엠케이전자, 이엔에프테크놀로지, 에프엔에스테크, 윌덱스, 퓨릿, 후성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반도체 소재, 부품 관련주에 대해 알아볼 예정인데요. 해당 관련주의 기업내용, 기업실적, 매출액,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주식차트의 모습까지 확인하셔서 성공투자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레이크머티리얼즈
- 동사는 국내에서는 유일한 TMA 제조 가능 업체이며, 유기금속화합물 설계 및 TMA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LED,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소재 및 석유화학 촉매로 이어지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음.
- 동사의 매출구성은 반도체소재 약 53.61%, , Solar 소재 약31.86%, 석유화학촉매 약 9.04%, LED소재 약 4.94%, 기타 약 0.55%로 이루어져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4% 감소, 영업이익은 19.5% 감소, 당기순이익은 4.1% 감소하였으며, 동사의 촉매사업은 국내 POE 업체들의 증설 추진, 메탈로센 촉매의 침투율 증가 및 해외 고객사 확보 등으로 성장이 기대됨.
- 배터리의 핵심인 황화리튬을 고가 원재료 없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개발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고 이는 전고체 배터리 물질 생산으로 이어 질 수 있어 매출 성장이 기대됨.
2. ISC - 반도체 소재 부품 관련주
- 동사는 2001년 2월,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장비의 핵심소모부품인 후공정 테스트 소켓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7년 10월 코스닥에 상장함.
- 주력사업은 반도체 IC와 IT 디바이스등을 테스트하는 반도체테스트솔루션 사업이며, 반도체테스트용 실리콘러버소켓은 글로벌 시장 약 90%를 점유하고 있으며, 신 사업으로 mmWave(28GHz) 5G 안테나용 FCCL 제조를 위한 신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감소, 영업이익은 84.8% 감소, 당기순이익은 78.4% 감소하였으며, 4분기 SKC 연결 편입을 앞두고, 과거 ISC 최대주주 콜옵션 부여에 따른 주식 관련 보상 비용을 전액 반영하며 영업이익 급감.
- 주요 팹리스 고객사향 매출 본격적으로 발생하는 24년부터 AI 시장 개화에 따라 다양한 응용처로의 매출이 증가할 전망임.
3. 케이씨텍
- 동사는 2017년 케이씨로부터 인적분할로 설립되어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및 소재 사업 부분을 영위하고 있으며, 매출구성은 반도체부문 71%, 디스플레이부문 28%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 반도체 전공정 장비 및 소모성 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반도체 CMP, 세정장비/디스플레이 Wet-station 및 Coater 장비, 반도체 Slurry 등 라인업을 갖추고 있음.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2.7% 감소, 영업이익은 54.8% 감소, 당기순이익은 47.4% 감소.
- 전방 산업인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 감소로 반도체 부문에서 매출이 60억 가량 감소하며 실적 하락을 견인하였으며, 반도체 신규 투자가 제한되었으며, Xiamen Tianma Optoelectronics Co.,Ltd와 202억 규모의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 체결.
4. 마이크로컨텍솔 - 반도체 소재 부품 관련주
- 동사는 반도체 검사용 소모품인 IC소켓(IC Socket)을 위주로 한 각종 반도체 및 통신기기 접촉부품을 생산 운용 및 써멀프로덱터 가전 사업을 운용하고 있음.
- 아이씨소켓은 대규모 자본 지출을 수반하는 설비투자 성격보다 반도체 제조 수량에 직접 연관된 소모성 특성에 따라 반도체 생산공정 내 경기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매출비중은 B/I소켓 72.20%, Module소켓 16.40% 등으로 구성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 증가, 영업이익은 37.7% 증가, 당기순이익은 26.6% 증가하였으며, 동사는 제품의 정밀부품을 국산화 또는 자체제작하여 경쟁사 대비 높은 원가경쟁력 유지와 수입의존도를 줄여가고 있음.
- Mobile, Consumer, Game 산업의 성장으로 최종 수요처가 다변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 아이씨소켓 시장은 이러한 메모리 시장의 등락과 긴밀하게 연동한 성장이 기대됨.
5. 하나마이크론
- 동사는 2001년 8월 23일에 설립되어 2005년 10월 11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동사 및 주요 종속회사는 현재 반도체 제품(패키징) 생산 및 반도체 재료(반도체 식각공정용 실리콘 Part)제품의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관리를위해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 인증을 완료함.
- 2023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이익은 46.6% 감소, 당기순이익은 63.7% 감소하였으며, 원재료 가격 변동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여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약 50%가량 하락하였음.
- 매출은 소폭 상승하였으며, 고객사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확대 및 비메모리 패키징, 테스트 사업확대를 통해 매출 및 수익성 개선을 계획 하고 있음.
6. 원익QnC - 반도체 소재 부품 관련주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석영제품(쿼츠)와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되었으며, 2020년 미국의 반도체용 소재 전문회사인 모멘티브사의 쿼츠/세라믹 부문 4개사를 인수하였으며, 2022년 11월 일본 쿠러스텍을 인수함.
- 사업부문은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및 쿼츠원재료 등 5개이며, 쿼츠부문은 4개, 쿼츠원재료 부문은 9개, 세정부문은 2개의 해외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음.
- 반도체 수요 둔화 영향으로 쿼츠와 세정, 세라믹 부문의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이 감소하였으며, 자회사 모멘티브는 가격 인상 효과와 쿠어스텍(지분 100%) 인수 효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연초부터 지속 감소해왔던 쿼츠 제품 주문이 최대 고객사인 북미 장비 고객사를 중심으로 6월경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TSMC 공급 확대를 위한 대만 증설이 12월에 완료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내년부터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7. 하나머티리얼즈
- 동사는 2007년 설립되어, 실리콘 및 실리콘카바이드(SiC) 소재의 일렉트로드와 링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실리콘부품 위주의 사업구조에서 사업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자 실리콘카바이드사업(SiC)을 추진하고 있음.
- 주요 제품은 반도체 제조공정 중 에칭공정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인 실리콘 소재의 일렉트로드와 링 등으로 반도체 칩 생산의 수율과 제품의 성능을 결정하는 고부가가치 부품임.
- 2023년 9월 연결기준 매출액은 1,867억원, 영업이익 362억, 당기순이익 306억이며, 메모리 업황 부진에 따른 장비 고객사의 국내 물량 재고 조정으로 매출 성장이 더뎠으며, 고정비 부담으로 수익성 또한 둔화함
- 2023년 9월 통신용 실리콘카바이드(SiC) 기판 원료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격이 높은 SiC시장에서 단가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아산2공장 신설을 통한 내년 매출 확대 또한 기대.
지금까지 반도체 소재 부품 관련주 7종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