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습기 관련주 7종목

반응형

제습기 관련주에는 쿠쿠홈시스, 삼성전자, 위닉스, 코웨이, 파세코, LG전자, 에스피지, 신일전자 등이 있습니다. 제습기는 고온다습한 6~8월에 필수 가전템으로 꼽힌다고 하는데요.

적정 실내 습도는 40~60%에 반해 여름 중에서도 장마철에는 습도가 80% 이상으로 높아지기 때문인데 습도가 60%를 넘어가면 곰팡이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돼 건강에도 좋지 않다고 해 제습기가 필수 가전템으로 인기가 좋습니다.

 

오늘은 제습기 관련주에 대해 알아볼 예정인데요. 해당 관련주의 기업내용, 기업실적, 매출액,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주식차트의 모습까지 확인하셔서 성공투자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쿠쿠홈시스

 

- 동사는 쿠쿠홀딩스에서 2017년 12월 1일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2018년 1월 11일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되어 거래가 개시되으며, 렌탈사업이 주요 사업으로, 주력 부문인 생활가전렌탈 품목은 정수기, 비데, 공기청정기 등이 있음. 

 

- 가전사업 부문에서 일시불 상품군의 매출비중은 약 5% 수준으로 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 계절상품, 미용기기의 상품군을 중점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쿠쿠홈시스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2% 증가, 영업이익은 7.8% 증가, 당기순이익은 3.1% 감소하였으며, 내수의 경우 신제품 출시로 제품 경쟁력 유지에 노력중이며 수출의 경우 신규 런칭한 비교적 고가 제품의 판매실적이 늘어나는 추세임. 

 

- 렌탈사업부문의 내수 매출 순위는 시장점유율 2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말레이시아, 미국, 호주 등 해외 지역에서도 현지인들 기호에 맞춘 제품으로 렌탈사업의 비중을 점차 늘려가고 있음.

 

출처: 키움증권

 

 

2. 삼성전자- 제습기 관련주

 

- 한국 및 DX부문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총괄, SDC, Harman 등 227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이며, 세트사업은 TV를 비롯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DX부문이 있음. 

- 부품 사업에는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DS 부문과 중소형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는 SDC가 있음.

 

삼성전자 주가 차트


- 5분기만의 메모리 사업 흑자 전환과 갤럭시 S24 시리즈 판매 호조에 힘입어 2024년 1분기 실적 반등에 성공하였으며, 메모리 반도체는 지속적인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반적인 구매 수요가 강세를 보임. 

 

- 파운드리는 주요 고객사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매출 개선은 지연되었으나, 효율적 팹 운영을 통해 적자폭이 축소되었으며, 스마트폰 시장의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첫번째 AI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의 판매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함.

 

출처: 키움증권

 

 

3. 위닉스

 

- 동사는 공기청정기, 의류건조기, 제습기 등의 친환경 생활가전 제품과 냉장고, 에어컨용 열교환기를 생산, 판매하는 업체로서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유지해가고 있음. 

 

- 주력 제품인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의 계절성 제품 수요에 보완하여, 팬히터 등 겨울용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내수 매출에는 삼성전자, 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수출 매출에는 COSTCO, AMAZON 등이 있음.

 

위닉스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4% 증가하였으며, 같은기간 매출액은 945억원으로 7.1% 늘었으며, 2024년 5월 초 신형 '인버터 컴팩트 건조기'를 선보였음. 

 

- 미니 건조기를 통한 매출증대가 기대되고 있으며, 동사는 300억원을 투입해 회생절차 중인 플라이강원 인수 예정으로, 2024년 5월 20일 조건부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돼 계약금 20억원을 예치하였음.

 

출처: 키움증권

 

 

4. 코웨이 - 제습기 관련주

 

- 1989년 창립 이래, 1998년 혁신적인 렌탈 비즈니스 개념을 업계 최초로 도입하였으며,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 환경가전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환경가전 전문기업. 

- 사업부문은 환경가전과 코스메틱으로 나뉘어지며, 매출액의 90% 이상이 환경가전 사업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매출 유형은 렌탈, 일시불, 기타로 분류할 수 있으며, 2024년 3월말 현재 국내 기준 약 685만의 렌탈 및 멤버쉽 계정을 확보하고 있음.

 

코웨이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 증가, 영업이익은 10.3% 증가, 당기순이익은 1.9% 증가하였으며, 국내와 해외 사업 모두 고른 성장세를 보였으며, 지난해 2·4분기 이후 네 분기 연속 매출액 1조원을 넘어서는 등 안정적인 실적 성장 흐름을 이어감. 

 

- 최근 출시한 2024년형 아이콘 얼음정수기를 비롯해 비렉스 브랜드 등을 앞세워 안정적인 경영 실적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출처: 키움증권

 

 

5. 파세코

 

- 1986년 8월 설립되었으며 1999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석유스토브 등 연소기기와 김치냉장고, 식기세척기 및 창문형에어컨 등 가전기기의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창문형에어컨 같은 냉방기구는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일반 에어컨의 설치가 불가한 환경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동사의 창문형에어컨은 고객들에게 다양한 옵션과 편의를 제공하고 있음.

 

파세코 주가 차트


- 2023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6.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91.5% 감소하였으며, 경기 불황에 따른 하계 가전 매출 감소와 부자재 원가 상승, 환율 변동 지속 등으로 이익률이 축소됐음. 

 

- 수출 부분은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장 개척에 더해 열기 제품뿐만 아니라 일반 가전 확대에 주력하고 있음.

 

출처: 키움증권

 

 

6. 에스피지 - 제습기 관련주

 

- 동사는 정밀 제어용 모터 및 감속기 부품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영업목적으로 1991년 3월21일 설립되었으며, 삼성전자, LG전자의 최첨단 PDP, LCD 라인 뿐만 아니라, 미국의 GE, Whirlpool에도 공급함.

- 정밀 제어용 기어드 모터의 주요 기능은 자동화 시스템 및 가전기기 등에 사용되는 정밀 제어용 모터에 기어 박스 세트(감속 기어)를 부착하여 무거운 것을 운반하거나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을 제공함. 

 

에스피지 주가 차트


- 2024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1% 감소, 영업이익은 49.1% 감소, 당기순이익은 42.2% 감소하였으며, 국내외 산업자동화 경기 둔화와 가전 경기 침체로 인해 전기 대비 매출과 이익이 감소함. 

 

- 성신과의 합병 후 국내 소형 기어드 모터 시장 판도가 국산품 위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동사의 생산증가는 일본제품에 의존하던 국내 시장에서의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옴.

 

출처: 키움증권

 

 

7. 신일전자

 

- 동사는 1959년 설립되어 종합가전 생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하며, 하이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농협하나로 마트 등 대부분의 대형 유통할인점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 소재 대리점은 동사와 오랫동안 거래하고 있는 대리점임. 

 

- 2023년도 연간 기준으로 대리점이 66%, 홈쇼핑 11%, 할인양판점이 약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4년 1분기 기준으로 선풍기의 매출비중이 54.7% 정도 차지함.

 

신일전자 주가 차트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1% 증가, 영업손실은 55.7% 감소, 당기순손실은 14.7% 감소하였으며,  소형가전제품이 그 옛날의 내구재에서 소비재로의 전환, 1인가구의 증가 등으로 매년 동일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음. 

 

- OEM 도입제품의 판매실적 추이를 검토하고 일정 규모 이상 판매가 가능한 제품에 대해 자체 제조를 검토하여 수익성을 높일 계획.

 

출처: 키움증권


지금까지 제습기 관련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행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