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MR 관련주 7종목

반응형

현대건설은 원자력연구원과 소형 모듈 원전(SMR), 원자력 수소생산 및 원전 해체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합니다.

 

현대건설은 이번 원자력연구원과의 협력으로 기존의 경수로형뿐만 아니라 4세대 SMR 기술 개발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망한다고 하는데요.

원자력연구원은 국내 최고의 원자력 종합 연구기관으로, 혁신적인 원자력 시스템 기술 개발과 안전한 원자력 이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한다고 하는데 오늘은 SMR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우리기술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2000년 6월에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했으며, 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자가 8.72%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으며, 동사는 시스템 사업부문, SOC사업부문, 바이오사업부문, 신규사업부문, 임대사업부문으로 나누어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무선 네트워크기술 및 DSP 등의 하드웨어 설계기술, 실시간 OS(Real-timeOS) 관련 기술, 인터넷 접속 및 네트워크 응용 관련 기술, 데이터베이스 처리기술 등과 관련된 고급 기반기술들을 확보 중임.

 

우리기술 주가 차트

 

우리기술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 증가, 영업이익은 167.8%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으며, 2021년 12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도 소재 압해 풍력발전소를 인수하고 2023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동사는 국내유일 신재생에너지 중 해상풍력 전문기업인 씨지오에 대한 지분투자를 통해 해상풍력에너지 시공/설치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출처: 키움증권

 

2. 보성파워텍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70년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전문업체로 설립되었고, 1994년 코스닥시장에 사장하였으며, 주력 제품으로는 가스개폐기, 주상변압기, 송전철탑, 발전소, 변전소용 철구조물 등을 충북 충주공장 및 전남 나주공장에서 직접 생산함.

 

- 주요 영업부문으로는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공작물을 제조하는 철구조사업부문과 전기회로의 개폐, 보호장치를 제조하는 중전기 사업 부문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보성파워텍 주가 차트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하였으며, 매출원가가 감소하였으나 판관비의 증가와 매출액의 감소로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이 적자 전환됨.

 

 - 한국전력공사를 주매출처로 두고 다양한 고객의 확보를 위한 다품종소량 생산체제를 통한 수익성의 극대화에 역점을 두고 세계시장을 목표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고객만족의 품질향상과 꾸준한 연구개발에 노력 중임.

 

출처: 키움증권

 

3. 서전기전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88년 9월 15일 설립되었고, 주요 목적사업은 고ㆍ저압 수배전반 및 자동제어반 제조 및 판매이며, 영위하고 있는 수배전반 산업은 중전기기 산업에서 전원용 전력기기 산업에 해당함.

 

- 국내 대기업 및 다국적 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초고압/직류 등 하이엔드(high-end) 전력기기 시장으로의 시장 진입을 목표로 연구개발하여 가시적인 성과 이뤄냄.

 

서전기전 주가 차트

 

기업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4.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하였으며, 동사는 전년대비 매출액 감소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환하였음. 

 

- 당기순이익 역시 적자로 전환. 기존 한국전력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국내 건설사 등의 현장에 납품을 진행하고 있으며, 신규 경전철 노선 및 기존 노선 개량사업 등의 수요에도 부응할 것으로 기대함.

출처: 키움증권

 

4. 두산에너빌리티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중화학공업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정부에 귀속,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되었으며, 2001년 두산중공업으로 상호 변경.

 

-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건설(두산중공업), 건설중장비 및 엔진(두산인프라코어), 토목과 건축공사(두산건설) 등의 사업을 영위 중이며, 17,000톤 프레스 도입으로 발전과 산업 분야의 초대형 단조품 시장 공략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임.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차트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으며, 2021년 8월 두산인프라코어(주)의 투자부문을 제외한 사업부문을 매각 완료. 2021년 12월 두산건설(주)에 대한 경영권 이전

 

- 매출액은 두산중공업 부문, 두산 밥캣 부문의 실적 개선 및 두산 퓨얼셀의 연결 편입 효과 등으로 인해 전기대비 2조 1,121억(23.03%) 증가하였으며, 매출 증대와 비용 절감 효과 힘입어 흑자전환 성공. 

출처: 키움증권

 

5. 우진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1980년 설립, 2010년 7월에 상장한 산업용 및 원자력발전소용 계측기 제조 전문 기업이며, 경기 흐름에 둔감한 시장 제품의 오랜 Life Cycle과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시장 규모의 확대가 산업의 특징임.

 

 

- 동사는 계측기 이외에 철강산업용 자동화 장치, 설비진단시스템, 유량계 및 유량시스템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2020년 12월에 온도센서 사업을 인수하였음. 

 

우진 주가 차트

 

우진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7% 증가, 영업이익은 472.5%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하였으며, 유량계측시스템 사업은 최근 글로벌 경기침체와 유가 하락 등으로 산업에 대한 전반적 투자가 지연되거나 취소되는 상황임.

 

- 계측정비 및 경상정비 용역 매출의 증가로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하였고, COVID-19로 인한 인한 국내 기반 산업이 전반적으로 실적이 부진한 상황이지만 매출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중임. 

출처: 키움증권

 

6. 에너토크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밸브 및 댐퍼 등의 자동개폐장치인 전동 ACTUATOR와 감속기를 개발하여 국내 및 해외에 판매할 목적으로 1987년 5월 16일에 설립됨. 

 

- 발전플랜트, 상하수도 시설, 조선소 및 제철소 등에서 물, 오일 및 스팀과 가스 등 밸브를 구동시키는 장비와 감속기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엑츄에이터는 국가 기반산업이 주 수요처인 바 일반 경기 변동과는 무관하게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함.

에너토크 주가 차트

 

에너토크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 감소, 영업이익은 280.2% 증가, 당기순이익은 313.5% 증가하였으며, 부품의 생산을 인건비가 저렴한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 및 납품받아 원가구조 개선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높여 이익 극대화에 성공. 

 

- 사실상 시장에서의 경쟁은 수요자가 일반적으로 품질을 인정하는 동사, 독일 아우 마사, 영국 로토크사, 미국 리미 토크사 등 4사 간에 이루어지는 중임.

 

출처: 키움증권

7. 오르비텍 - SMR 관련주

기업개요

- 동사는 연구 및 개발을 통한 핵심 보유기술을 바탕으로 비파괴 기술검사 등을 목적으로 1991년 3월 설립되어 201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영업부문은 원자력사업본부, ISI사업본부, 항공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있음.

 

- 2013년에는 항공기 정밀부품 제조업에 진출해 항공우주산업에 필수적인 AS 9100 국제 품질인증 획득, 자체 신규 공장 준공 등 독립 생산능력 확보하였으며,  2017년 신기술사업 금융업을 영위하는 오비트 파트너스(주)를 신설함.

 

오르비텍 주가 차트

 

오르비텍 실적

- 2021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4%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하였으며, 원자력 관련 사업의 사상 최대 수주잔고 확보  등으로로 인한 매출액 증가와 항공사업본부의 적자폭 감소로 2021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46.41% 증가함. 

 

- 동사는 방사선 관리 분야, ISI 분야 모두 국내 2위권 회사로 원자력 검사 용역 부문 국내 최상위권 회사이며, 특정 원재료가 필요하지 않아 원가 위험성이 적음.

 

출처: 키움증권


[ 키움증권의 내용을 참고해 작성된 포스팅입니다. 감사합니다. ]

 

 

전기차 소재 관련주 7종목

최근 우리나라 기업 및 글로벌 기업들이 전기차 소재의 핵심 광물로 떠오른 자원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완성차 업체들에게 필수가 되고 있어 직접 소재 확보해 힘을 쓰고 있습니다. 테슬

jtech2022.tistory.com

 

반응형